logo

한국어

자료실

민주법연의 간행물인 민주법학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판은 RSS와 엮인글이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이 곳의 글은 최근에 변경된 순서로 정렬됩니다.
* 광고성 글은 바로 삭제되며, 민주주의법학연구회의 설립취지에 어긋나는 글은 삭제 또는 다른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한미FTA와 민주주의 - 주권문제를 중심으로 / 김종서

원문 내용 공개(PDF 파일 등)는 민주법학 통권 제33호 발간 후에 이루어집니다.
민주법학 통권 제32호는 온라인서점 등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민주법학 통권 제31호까지의 원문 내용은 본 자료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문 요약]

이 글은 한미FTA의 법적 성격과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일정한 법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헌법 제60조의 해석을 통하여 주권을 침해하는 조약은 우리 헌법이 예정하고 있는 조약이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하면서, 한미FTA가 단순한 통상협정이 아니라 주권을 침해하는 성격의 조약임을 논증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이러한 헌법개정적 성격을 갖는 조약에 대한 제도적 및 제도외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헌법 제60조는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국회의 동의권 행사의 대상이 되는 조약에는 ‘주권을 제약하는 조약’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일시적이고 부분적인 국가권력의 제약 곧 입법사항에 국한되는 조약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헌법개정 또는 제정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조약, 주권 침해적인 조약은 처음부터 국회 동의의 대상도, 정부의 체결·비준의 대상도 아니다.
그런데 한미FTA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주권침해적 성격을 갖는 조약임을 부정할 수 없다.
첫째, 한미FTA는 입법·행정·사법을 포함하여 국가권력을 전반적으로, 그리고 불가역적으로 제약하는 것으로서 주권의 대내적 최고성을 침해함은 물론, 양국간 불평등 적용을 예정하고 있어 주권평등의 원칙에도 반한다.
둘째, 한미FTA는 근로의 권리와 노동3권은 물론, 건강·환경·교육 및 문화에 대한 권리 등 헌법이 선언한 기본적 인권을 전반적으로 침해하는 것이다.
셋째, 더 나아가 한미FTA는 경제민주화의 원리, 문화국가의 원리, 그리고 평화주의원리에 배치될 뿐 아니라, 한미간의 군사·안보 동맹의 성격이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허용과 맞물려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과 남북의 평화적 통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처럼 한미FTA는 주권침해적인 조약으로서 국회의 동의 대상이 아니므로 정부는 즉각 협상을 중단하여야 하며, 정부가 계속 이를 추진하고자 한다면 향후의 협상만이라도 국민과 국회의 지속적인 관여하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통상조약체결절차에 관한 법률안을 통과시켜 이에 의거하여 향후 협상을 진행시키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협상이 타결되어 조약에 대한 비준동의절차까지 진행될 경우에는 주권침해적인 헌법사항을 담고 있는 한미FTA의 성격상 그 비준동의 요청은 헌법개정안 발의의 형태로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국회는 비준동의안에 대한 심의 자체를 거부해야 한다.
그러나 정부와 국회에 대한 이와 같은 통제나 바램은 더 이상 무의미해 보인다. 정부는 한미FTA 추진단계에서부터 처음부터 국민을 줄곧 무시해왔으며, 국회는 이에 암묵적으로 동조하면서 사태를 수수방관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이 이러한 정부와 국회를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바로 이 점은 국민을 실질적 권력행사자로 상정하지 않는 현행 헌법체제의 틀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음을 확인시켜준다. 대리자들에게 주권을 이양하는 절차가 되고 만 선거가 주권행사의 유일한 방법처럼 여겨지는 체제를 벗어나, 이제 국민이 주권행사자로 우뚝 서서 국가권력의 성립과 유지를 정치적으로나 법적으로나 스스로 결정하는 그러한 헌정체제의 수립을 위해 나설 때이다. 그것만이 한미FTA를 통한 주권 상실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국문 주제어]

주제어: 한미FTA, WTO, 주권, 조약, 헌법


KORUS FTA and Democracy

Kim, Jong-Seo
Professor, Paichai Univ.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legal character of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referred to as “the KORUS FTA” below), examining the problems related to it, and suggesting a way to effectively respond to it. For this purpose, I try first to verify that under Sec. 1 of Art. 60 of the Korean Constitution it cannot be permitted to conclude or ratify a treaty restricting or infringing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next step is to make it clear that the KORUS FTA is not a mere trade-related agreement, but a treaty threatening the reduction or abandonment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reby substantially request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Finally, I intend to suggest some possible ways of resistance, on the part of the people, in terms of current institutional mechanisms on the one hand, and new approaches beyond established institutions on the other.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KORUS FTA is a treaty leading to the viol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restricts the authority of the national government generally and irrevocably, which necessarily leads to the violation of the sovereignty in domestic level. The KORUS FTA also infringes on the principle of sovereign equality in that it applies to all the regional and local authorities in Korea while it may not be applicable to all 50 states in the US territory.
Second, it seriously violates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the people provided by the constitution, such as the right to work and to independent associ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the right to health,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Third and finally, the KORUS FTA contradicts basic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those of economic democratization, cultural state, and pacifism. Also, it might result in the formation of another economic-military block of the countries including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which in turn would hinder in the construction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r and obstruct the reunification of two Koreas.

Considering that the KORUS FTA is a treaty against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thus cannot be given consent by the Congress, the government has to stop the on-going negotiations immediately. Even if the unconstitutional elements could be eliminated and the negotiation needs to be continued, it must be carried out justifiably onl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in full participation of all the people and the parties concerned. If unfortunately the negotiation reaches to a settlement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the bill for ratification of the KORUS FTA must be submitted in the form of a proposal of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The above mentioned measures, however, are not expected to be helpful to stop the conclusion and ratification of the KORUS FTA. The administration has been ignoring the voice of the people from the pre-negotiation stage on, and the Congress also has remained a mere spectator, tacitly sympathizing with the administration. The sovereign, however, has no effective means to exercise control over them. This situation shows that the current constitutional framework, denying the status of people as the substantial sovereign, could and should no more be sustained.
It is time that we should take off the regime under which the election is considered as the only way of exercising the sovereignty while it virtually has become a process of handing over the sovereignty to those political agents called the representatives. Now is the time that the people should set out to create a new constitutional system in which they can actually exercise the sovereign power, enjoy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control directly the representatives going against the will of the people. That is the only way to protect and preserve the national sovereignty against the KORUS FTA.


[Key Words]

KORUS FTA, WTO, Sovereignty, Treaty, Constitu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1042 7호 국가안보와 사상의 자유 file 2004-06-07 11080
1041 7호 자연법 개념연구 file 2004-06-07 10799
1040 7호 빌라도와 나탄의 알레고리 : 라드브루흐에 대한 시론 file 2004-06-07 13012
1039 7호 '열린 법학'을 위하여: 입법에 대한 연구 file 2004-06-07 14438
1038 7호 통계로 본 헌법재판 file 2004-06-07 10850
1037 7호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한 헌법실천 file 2004-06-07 11659
1036 7호 국가권력남용행위에 대한 이해의 새로운 지평: 통제범죄 file 2004-06-07 15784
1035 7호 경영참여운동 시론 file 2004-06-07 11743
1034 7호 용산미군기지 이전의 문제점과 한미행정협정 개정의 방향 file 2004-06-07 12177
1033 7호 근로자의 강제해고무효확인청구소송에 관한 판례분석 file 2004-06-07 16056
1032 7호 권리는 진보적 사회이념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가? file 2004-06-07 13899
1031 7호 비엔나선언 및 행동계획 file 2004-06-07 14914
1030 8호 '민주법학' 제8호를 내면서 file 2004-06-07 11589
1029 8호 법률시장개방과 사법개혁 file 2004-06-07 13867
1028 8호 '법률서비스', 그 실태에 대하여 file 2004-06-07 13886
1027 8호 법조는 언제까지나 우물 속에 있을 것인가? file 2004-06-07 12597
1026 8호 역사의 발전과 법, 사법의 민주화 file 2004-06-07 13679
1025 8호 '한국사회의 이해'와 학문의 자유 file 2004-06-07 10809
1024 8호 한 총장의 독백과 아홉 교수의 수난 file 2004-06-07 12287
1023 8호 '한국사회의 이해'건에서 본 공안정국 file 2004-06-07 14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