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법학

민주법연의 간행물인 민주법학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판은 RSS와 엮인글이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 광고성 글은 바로 삭제되며, 민주주의법학연구회의 설립취지에 어긋나는 글은 삭제 또는 다른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조경배, "파견노동 및 현행 파견법의 문제점과 법적 과제", 민주법학 제62호 (2016.11), 15-45쪽. 


<국문초록>


파견노동은 노동자의 사용과 고용이 분리 가능하다는 법률적 허구에 기초하여 자본의 이윤은 극대화하고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부담은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고용형태이다. 파견노동의 본질은 특수고용노동과 함께 임노동관계를 지배하는 법질서의 무력화, 즉 탈 규범화에 있다. 파견노동자는 사용사업주와 고용사업주 양자의 책임미루기 덫에 걸려 항상적인 고용불안과 근로조건 저하의 위험에 놓이게 되는 것은 물론 노동3권마저 제대로 행사할 수 없게 된다.

파견노동을 합법화한 현행 파견법은 노동유연화라는 미명 하에 경영계의 구미에 맞게 졸속으로 만들어졌다. 그렇기에 수많은 탈법, 편법의 여지를 만들어 놓았고 근로계약과 도급(위임)계약의 전통적인 구별기준마저 모호하게 함으로써 법적책임의 귀속자를 더욱 불분명하게 만들었다.

파견과 도급의 구분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 부적절한 판단기준과 일관성의 결여로 재벌 대기업들의 불법적인 사내하청을 제대로 규율하지 못하고 있고, 정부여당의 노동개혁과 이를 위한 새로운 법률안은 한술 더 떠서 이를 규제하기는커녕 정당화해 주는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불법파견을 근절하고 건전한 고용법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직업소개 기능의 공공성 회복과 직접고용 원칙에 기반을 둔 근로기준법의 전향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주제어: 파견노동, 파견법, 파견과 도급의 구별, 직접고용 원칙, 고용서비스의 공공성




<Abstract>

 

Review and Legislative Prospect of Temporary Work and Current Law

 

Cho, Kyung-Bae

Professor, Soonchunhyang University

 

Temporary work is based on the legal fiction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use and employment of workers. Capital maximizes profits through this form of employment and the economic risks are passed on to workers. The essence of temporary work is a de-normalization, i.e. making useless law and order govern the wage labor relationship. The temporary workers fall into the trap of transferring responsibility of both the employer and the hirer, which makes them unable to exercise even the right to organize and brings about the risks of employment insecurity and harsh working conditions.

The current law, which legalized the temporary work, has been hastily made to meet the needs of the capital in the name of “labor flexibility.” Therefore, the room of numerous illegal activities and breaking the law was born. Also is made more obscure even the attribution of legal responsibility by blurring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the employment contract and the subcontracting.

Due to inadequate criteria and lack of consistency, cases of the Supreme Court regarding the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work and the subcontracting is unable to properly regulate the illegal subcontracting of ‘chaebols’. Furthermore, the new bill of the government party is headed in the wrong direction that will justify regulating illegal temporary work. In order to eradicate the illegal temporary work and to establish a sound employment order, a prospective reform of the Labor Standards Act based on the principle of direct employment and the recovery of the public nature in employment service are necessary.

 

Key phrases: temporary work, the criterion of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work and subcontracting, the principle of direct employment, the public nature of employment service.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민주법학 자료실 예전 데이타 관련 2019.08.10 2732
341 논문: 일본 민주법학의 현황과 시사점 (이경주) file 2016.11.11 446
340 권두언: 변혁을 위한 시도 / 문병효 file 2015.07.08 442
339 민주법학 제65호 차례 2017.11.09 427
338 권두언 : 「민주법학」 제76호를 내면서 / 신옥주 file 2021.07.09 391
337 [특집2: (촛불)광장에서 찾는 새 헌법] 현행 헌법과 대통령선거에서의 결선투표제의 도입 (한상희) file 2017.03.13 353
336 [특집1: 인간존엄과 민주법학] 인간존엄과 민주법학 - 노동, 젠더, 장애 (이계수) file 2017.03.13 352
335 논문: 호별방문금지규정의 정착과정과 문제점에 관한 소고 (김학진) file 2017.03.13 346
334 권두언: 박근혜 헌법체계범죄의 단죄 너머 (오동석) file 2016.11.11 330
333 논문: 이행기 정의와 크로노토프 (이재승) file 2017.07.12 324
332 [특집] 촛블집회와 사법부: 오욕과 회한의 세월에서부터 민주적 사법으로 (한상희) file 2017.07.12 307
331 민주법학 제63호 차례 2017.03.13 281
330 논문: 아동・청소년 성보호 실질화를 위한 의제강간죄, 16세미만 간음죄 및 대상아동・청소년 규정 개정 / 김한균 file 2019.11.06 265
329 전선 : 헌법의 눈으로 본 차별금지법 / 한상희 file 2020.11.09 249
328 번역: 평화적 집회의 자유에 관한 지침 (OSCE ODIHR / 김종서) file 2017.07.12 246
» [특집: 불안정노동과 노동법의 관제] 파견노동 및 현행 파견법의 문제점과 법적 과제 (조경배) file 2016.11.11 229
326 권두언: '국가없는 사회'의 헌법 (오동석) file 2016.07.05 204
325 논문: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종교행위와 정교분리원칙의 붕괴: 사회복지제도의 공공성 정립을 위하여 / 김지혜 file 2021.03.09 203
324 제70호 목차 2019.08.10 196
323 자료: 정보경찰 폐지 없는 경찰개혁은 개혁이 아니라 개악이다 file 2018.07.05 184
322 논문 : 간호법 제정에 관한 검토 / 이여주·오길영 file 2022.03.14 17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