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법학

민주법연의 간행물인 민주법학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판은 RSS와 엮인글이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 광고성 글은 바로 삭제되며, 민주주의법학연구회의 설립취지에 어긋나는 글은 삭제 또는 다른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특집2: 과거사 해법의 모색]

 

점령법원의 유죄판결에 대한 재심 / 이재승

 

<국문초록>

 

현재 진실화해위원회와 일부 법원은 미군정기 점령법원의 형사재판을 재검토해야 하는 난제에 직면하였다. 이 글은 독일법원이 점령체제의 종료 후 연합국 점령법원의 판결을 어떻게 처리해왔는지를 살펴보고 미군정기 점령법원이 내린 하자 있는 유죄판결을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점령법원의 형사재판을 재검토하고자 할 때 두 가지 어려운 문제가 드러난다. 첫 번째 쟁점은 점령법원의 형사재판을 통제할 법적 기준과 준거에 관한 것이다. 점령법원에 의한 재판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기준은 무엇보다도 죄형법정주의, 적법절차, 공정한 재판에 관한 규범 등이다. 이러한 원칙은 군사점령 당시에도 국내법과 국제법, 특히 국제인도법에 폭넓게 반영되었다. 두 번째 쟁점은 점령법원의 재판에 존재하는 재심사유의 증명에 관한 것이다. 재판이 경찰의 불법수사에 기초하여 변호사나 통역도 없이 졸속으로 진행되었다면 재심사유를 인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재심사유를 증명할 기록도, 증언자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재심사유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례들의 유형 분류에 입각한 특별재심이나 포괄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주제어: 공정한 재판, 미군정, 재심사유, 점령법원, 특별재심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민주법학 자료실 예전 데이타 관련 2019.08.10 2735
1281 특집: 윤석열 정부 1년 반 – 검찰권력의 강화와 민주주의의 실종 / 최정학 file 2024.03.06 34
1280 권두언: 민주법학 84호를 내면서 file 2024.03.06 34
1279 번역 : 유럽 전역의 공공 파수꾼 보호대책: 유럽연합 반봉쇄소송법 제안/김종서 옮김 file 2021.11.08 35
1278 판례분석: 교육공무원의 특별채용과 경쟁시험을 통한 공개전형: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 1. 27, 2021고합1223 판결에 대한 검토 / 최정학 file 2023.07.18 35
1277 제84호 목차 2024.03.06 35
1276 자료: 이재용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에 분노하는 법학교수들의 입장 file 2017.03.13 36
1275 논문: 징벌적 손해배상보다 배심제가 먼저다 / 이용인 file 2019.08.10 37
1274 제68호 목차 2019.08.10 37
1273 논문 : 군복무로 인한 정신질환의 보상을 위한 인과관계 인정 문제 / 박병욱 file 2021.11.09 37
1272 논문 : 정신질환 전역자의 치료와 처우를 위한 법제 개선방향 / 오병두 file 2021.11.09 37
1271 자료 :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 파업에 관한 노동법률단체 의견서 file 2022.11.14 37
1270 논문: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조사활동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과제 / 송기춘 file 2023.07.18 37
1269 특집1: 과학기술과 민주법학 / 김종서 file 2023.07.18 37
1268 전선: 정부의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안’에 대한 단상 / 최정학 file 2019.08.10 38
1267 논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노동법 수업 설계와 운영 / 이용인 file 2023.07.18 38
1266 논문: 사상교정처분의 발본적 고찰 – 보안관찰법 부칙 제2조 제2호에 대한 공시적·통시적 검토를 중심으로 - / 정지훈 file 2019.08.10 39
1265 자료: 밀실야합을 사회적 대화로 포장하는 정부와 경사노위를 규탄한다 file 2019.08.10 39
1264 논문: 김일성의 한반도 중립화 제안: 1987년 미소 정상회담 의제를 중심으로 / 정태욱 file 2023.11.09 39
1263 전선: 경찰개혁위원회의 성과와 과제 / 박병욱 file 2019.08.10 40
1262 자료: 탄력근로제 6개월 연장은 주52시간(주40시간+연장12시간) 노동의 철폐다 –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소위 ‘탄력근로제 개선을 위한 노사정 합의’를 비판한다개월 연장은 주52시간(주40시간+연장12시간) 노동의 철폐다 –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소위 ‘탄력근로제 개선을 위한 노사정 합의’를 비판한다 file 2019.08.10 4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