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법학

민주법연의 간행물인 민주법학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판은 RSS와 엮인글이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 광고성 글은 바로 삭제되며, 민주주의법학연구회의 설립취지에 어긋나는 글은 삭제 또는 다른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논문]

한국 헌법의 전투적 민주주의에 관한 고찰 / 김현정

 

<국문초록>

 

·현대국가의 대개 입헌민주주의 헌법은, 비슷한 내용들을 담고 있을 것이다. 개인의 기본권 보장, 민주주의 제도들을 수립유지하는 데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제도들을 규율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 보니 헌법이 헌법을 수호하거나 헌법이 구현하려는 민주주의의 수단들을 대개 입헌민주주의 국가에서 비슷비슷하게 규정하고 있을 것인데, 같은 제도를 규율하고 있고 또 그 제도가 어느 한 국가의 헌법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하더라도 목적과 역사적 맥락까지 같을 수는 없다.

따라서 헌법을 해석할 때 제대로, 비교적 정확하게 해석하려면 입법자의 의사를 집요하게 추적해야 할 것이다. 상당히 지루한 작업인데, 이를 포기하면 법률가의 실존적 의무를 포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헌법에 규정된 정당해산제도가 독일식의 방어적 민주주의의 수용 결과라거나, 정당해산제도가 대표적인 방어적 민주주의의 수단이라는 오해는 이런 입법자의 의사를 추적하려는 작업을 게을리한 데서 혹은 의도적이었을지도 모르지만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당해산제도의 사상적 기초인 전투적 민주주의가 독일식의 방어적 민주주의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 포퓰리즘의 득세, 차별과 배제를 심화 시키는 혐오표현, 신냉전질서의 등장과 같은 새로운 민주주의 위협으로부터 민주주의 수호방안으로 전투적 민주주의의 수단이 가능할 수 있을지를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헌법의 정당해산제도는 독일식의 방어적 민주주의나 전투적 민주주의의 수용과는 무관하지만, 일응 헌정질서의 수호방안으로 전투적 민주주의를 이해할 때, 한국 헌법에서 전투적 민주주의의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주제어: 정당해산제도, 칼 뢰벤슈타인, 방어적 민주주의, 전투적 민주주의, 민주주의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민주법학 자료실 예전 데이타 관련 2019.08.10 2720
1321 논문: 이행기 정의와 법학방법론 / 이재승 file 2023.11.09 47
» 논문: 한국 헌법의 전투적 민주주의에 관한 고찰 / 김현정 file 2023.11.09 62
1319 논문: 김일성의 한반도 중립화 제안: 1987년 미소 정상회담 의제를 중심으로 / 정태욱 file 2023.11.09 39
1318 논문: 합법적 권리행사행위에 대하여 협박으로 처벌하기 위한 기준, 특히 노동조합이 주체일 때 / 박지현 file 2023.11.09 54
1317 논문: 생성형 인공지능에 의한 창작물의 저작권 인정 문제와 그 미래에 대한 검토 / 김재완 file 2023.11.09 102
1316 자료: 인종차별철폐위원회 성명 5(2023) file 2023.11.09 22
1315 자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심판 관련 의견서 file 2023.11.09 25
1314 자료: 기억은 철거할 수 없습니다. 세월호 기억공간은 존치되어야 합니다. file 2023.11.09 25
1313 자료: 헌법재판소의 ‘이상민 장관 탄핵 기각 결정’을 강력히 규탄한다. file 2023.11.09 23
1312 자료: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이충상 자진 사퇴요구서 file 2023.11.09 25
1311 자료: 이동관이 주도한 언론장악 공작, 진상부터 밝혀라 file 2023.11.09 23
1310 자료: 이동관 임명은 언론 자유와 민주주의 파괴 선언이다. file 2023.11.09 23
1309 자료: 사형 집행 시도 중단하고 사형제도 폐지하라. file 2023.11.09 26
1308 자료: 국내 정치·선거 개입 의도 또 드러낸 국정원 file 2023.11.09 20
1307 자료: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불러도 대답 없는 그 이름”들을, 우리는 잊지 않았고, 또한 잊지 않을 것이다. file 2023.11.09 23
1306 제82호 목차 2023.07.18 55
1305 권두언: 「민주법학」 제82호를 내면서 / 엄순영 file 2023.07.18 62
1304 특집1: 과학기술과 민주법학 / 김종서 file 2023.07.18 37
1303 특집1: 인공지능이 인권과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인공지능법안의 쟁점 / 유승익 file 2023.07.18 78
1302 특집2: 강제동원 손해배상 정부안으로서 “제3자 변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김소진 file 2023.07.18 4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