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법학

민주법연의 간행물인 민주법학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판은 RSS와 엮인글이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 광고성 글은 바로 삭제되며, 민주주의법학연구회의 설립취지에 어긋나는 글은 삭제 또는 다른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군에 대한 의회통제의 가능성과 한계 - 독일의 ‘국방감독관’ 제도를 중심으로 - / 이계수․오병두

원문 내용 공개(PDF 파일 등)는 민주법학 통권 제34호 발간 후에 이루어집니다.
민주법학 통권 제33호는 온라인서점 등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민주법학 통권 제32호까지의 원문 내용은 본 자료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문주제어]

국방감독관, 군 옴부즈만,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군사헌법, 의회에 의한 국방통제


Wehrbeauftragter als Hilfsorgan der parlamentarischen Kontrolle von Wehrwesen

 

Yi, Kye-Soo

Professor, Konkuk University

Oh, Byung-Doo

Professor, Youngsan University

 

Im demokratisch verfassten Staat müssen die Streitkräfte als das dem Parlament verantwortlichen Heer der parlamentarischen Kontrolle unterstehen. Jedenfalls kann dieses Ziel nicht ohne weiteres erreicht werden.

Die demokratische Kontrolle der Streitkräfte durch Parlament erfüllt eine wichtige Funktion. Sie sollte die Streitkräfte in Staat und Gesellschaft eingebunden halten, damit kein Wehrmacht zu einem “Staat im Staate” wird.

Seit Dezember 2006, the Ombudsman of Korea - an Stelle von dem parlamentarischen Kontrollorgan - hat ein “militärer Ombudsmann”(the Military Ombudsman) eingeführt, um die administrative Kontrolle der Streitkräfte zu ausüben bzw. zu verstärkern. Aber hinsichtlich des Standpunktes der demokratischen Kontrolle über Streitkräfte läßt er viel zu wünschen übrig.

Im Vergleich zum koreanischen Ombudsmann haben wir in diesem Aufsatz die Institution “Wehrbeauftragter des Bundestages” in Bundesrepublik Deutschland behandelt.

Der Wehrbeauftragte ist “zum Schutz der Grundrechte und als Hilfsorgan des Bundestages bei der Ausübung der parlamentarischen Kontrolle” über die Streitkräfte tätig(Art. 45b GG), der in der deutschen Wehrverfassung den Grundsatz vom “Primat der Politik” unterstützt und alles andere als the Military Ombudsman in Korea ist.

 


[Key Words]

Wehrbeauftragte, the Military Ombudsman, the Ombudsman of Korea, Wehrverfassung, Parlamentarische Kontrolle von Wehrwesen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민주법학 자료실 예전 데이타 관련 2019.08.10 2719
21 (번역) 성차별정치에 맞서며, 차이존중의 정치와 여성친화적 양형을 위하여 / Carlen, Pat, 김한균 옮김 (PDF) file 2007.03.23 24950
20 (판례분석) 사립학교법상 임시이사의 정이사 선임권 / 임재홍 (PDF) file 2007.03.23 362087
19 (전선) 석궁 사건과 교수재임용제 / 김종서 (PDF) file 2007.03.23 21597
18 (일반) 인도 제73차 개헌이 달리트의 정치적 지위변화에 미친 영향 / 이상수 (PDF) file 2007.03.23 13697
» (일반) 군에 대한 의회통제의 가능성과 한계 - 독일의 ‘국방감독관’ 제도를 중심으로 - / 이계수․오병두 (PDF) file 2007.03.23 25788
16 (일반) 외국인 강제퇴거절차와 관련한 몇 가지 쟁점 / 최홍엽 (PDF) file 2007.03.23 17134
15 (일반) 개정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과 노동기본권 / 김기덕 (PDF) file 2007.03.23 17293
14 (일반) 행정상 진술거부권과 그 제한 / 박지현 (PDF) file 2007.03.23 18390
13 (일반) 통상정책결정에 대한 민주적 통제 / 문병효 (PDF) file 2007.03.23 22279
12 (일반) 북한의 핵보유에 대한 규범적 평가 / 정태욱 (PDF) file 2007.03.24 18321
11 (일반) 반국가보안법운동 국제화의 성과와 과제 / 정경수 (PDF) file 2007.03.24 17803
10 (일반) 군내자살처리자에 대한 국가책임 / 이재승 (PDF) file 2007.03.24 15951
9 (일반) 피해 증언의 생산과 ‘과거 청산’: ‘수지 김’ 유족 증언을 중심으로 / 양현아 (PDF) file 2007.03.24 19515
8 (특집) 곽노현 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과의 인터뷰 (PDF) file 2007.03.24 15013
7 (특집) 국가인권위원회 각하와 기각 결정에 대한 평가 / 신수경 (PDF) file 2007.03.24 19321
6 (특집)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이 국가기관에 미친 영향 평가 / 이호중 (PDF) file 2007.03.24 19062
5 (특집) 국가인권위원회 결정과 사법부 판결에 미친 영향 평가 / 김도현 (PDF) file 2007.03.24 13885
4 (특집) 국가인권위원회 5년, 전망과 과제 / 이창수 (PDF) file 2007.03.24 21161
3 (권두언) 민주법학 제33호를 내면서 (PDF) file 2007.03.24 12444
2 민주법학 제33호 표지 및 목차 (PDF) file 2007.03.24 25431
위로